메뉴닫기

-

HOME---

- 교과목번호: 920.701
- 이수학점: 3-3-0
- 본 과목은 행정 및 정책 연구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방법론적 연구역량의 배양과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설계의 논리와 유형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적 실증연구의 논리에 대한 과학철학 논의를 소개하고, 대표적인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양적 접근법과 질적 접근법 간의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방법론적 다원주의와 분석적 엄격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각 각의 접근법이 보유하는 논리와 절차의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그 평가기준의 공통점이 존재하고 또한 바람직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 설계의 중요성과 설계의 논리 구조와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향 후 질적/양적 방법론 학습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The main theme of this course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for designing good policy inquiry. Especially the course attempts to bring in a lens to view various current research approaches as a continuum rather than as disjoint ones, and to emphasize the need of shared standards with diverse techniques to develop persuasive evidence. In doing so, it tries to introduce several selected them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the debates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logic of research design that are crucial in enhancing the research capability.
- 교과목번호: 920.702
- 이수학점: 3-3-0
- 이 강의는 사회과학으로서 행정학 연구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능력을 계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이론적인 측면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양적 연구방법과의 차이, 질적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탐구한다. 이에 더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자료 수집 방법을 구체적으로 습득하는데, 참여관찰, 심층면접, 역사적 문헌연구방법, 민속지법, 언어분석 등을 습득한다. 아울러 현상학,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비판이론 등의 이론적 계보도 학습한다.
- This course, in several levels bo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n purpose. The course explores main interpretative approaches such as phenomenology, heumeutics, postmodernism, and critical theory with an emphasis on public issues. In this seminar, class participants will become familiar with the issues involved in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using qualitative techniques. These include research designing, in-depth interview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ethonographic methode, text analsysis and a small-N comparative analysis. As the course objective, students are suppos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quantitative methold and qualitative method and to be able to use, at least, one of research techniques.
- 교과목번호: 920.703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은 다양한 공공 이슈를 다루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 과목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행정학과 정책학의 다양한 이슈를 분석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 This course is offered to students who want to deal with various public issues.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various issues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 교과목번호: M2083.001300
- 이수학점: 3-2-2
- 본 강좌는 자료 분석에 필요한 계량경제분석의 기본적 수학 원리와 함께 고급 회귀분석 방법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이 과목은 다양한 회귀분석 모형에 관한 이론적 추론과 수리적 학습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강좌의 주요 주제로는 모형설정, 자료문제, 도구변수, 이분산성, 자기상관성, 연립방정식 모형, 그리고 패널자료 분석을 포함한다.
- 교과목번호: M2083.001400
- 이수학점: 3-2-2
- 본 강좌는 행정 및 정책분야 평가·실험에 필요한 고급통계 지식과 응용분석 능력의 배양에 중점을 둔다. 본 강좌에서 다루는 주요 내용은 다양한 고급회귀분석기법들, (준)실험평가기법들 (자연 및 사회실험, 단절적 회귀분석, 성향점수매칭기법) 그리고 무작위실험기법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이론적 이해와 함께, 통계 패키지 활용을 통한 응용 능력도 배양하게 될 것이다.
- 교과목번호: M2083.000800
- 이수학점: 3-2-2
- 본 강좌는 수강생에게 행정학과 정책학에 필요한 시계열자료 분석기법을 소개하는데 있다. 본 강좌에서는 구체적으로 추세분석, 평활법, 분해법,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ARIMA) 스펙트럼분석, 개입분석, 상태공간모형, 전이함수모형, 그리고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강좌는 다양한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행정 및 정책 관련 실제 시계열 자료에 대한 분석을 강조한다.
- 교과목번호: M2083.000900br /> - 이수학점: 3-2-2
- 본 강좌는 행정과 정책의 분석역량 제고를 위해 다변량분석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강좌에서 다변량분석은 다변량분산분석(mulitivariate ANOVA), 축약, 분류, 판별, 다층수준 인과관계, 조절 매개된 인과관계, 그리고 다속성구성모델을 다루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다변량분석 기법으로 본 강좌는 클러스터 분석, 다차원스케일링, 요인분석, 문항반응모델, MANOVA & MANCOVA, 판별분석, 다층모형, 구조방정식, 그리고 컨조인트분석을 다루고자 한다. 본 강좌는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행정 및 정책 관련 다양한 자료에 대한 실습을 강조한다.
- 교과목번호: M2083.001000
- 이수학점: 3-2-2
- 본 강좌는 수강생에게 행정이나 정책관련 프로그래밍이나 모델링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강좌는 최적의 정책설계와 대안적 정책접근들에 내재된 정책효과 분석을 위해 정책기획가나 분석가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강좌는 정책목표, 정책성과, 선택기준, 실행가능성, 그리고 불확실성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본 강좌는 동태적 정책환경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 행태(예: 협력게임, 네트워크)에 대한 모델링을 위해 사용되는 ‘행위자기반모델(ABM)’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수업에서 학생들은 하나의 정책사례를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정책설계와 정책 실현가능성을 평가하는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 교과목번호: 920.803
- 이수학점: 3-3-0
- 본 과정은 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며, 개인의 연구분야에 대한 특정 주제에 대해서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연구하고 토의하는 강좌이다.
- This course is offered to graduate students preparing theses. Students review and discuss special problems in research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