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

HOME---

- 교과목번호: 921.707A
- 이수학점: 3-3-0
- 행정은 국민이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이를 실현하는 행위로 이해한다. 문제는 국민의 뜻을 어떻게 알 수 있으며, 또 파악된 국민의 뜻을 어떻게 하면 잘 달성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발전국가 시절에는 국민의 뜻을 파악하는 것도 또 이를 집행하는 것도 행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때문에 국가의 발전을 위해서는 행정의 발전이 요체였다. 그러나 민주정부 아래에서 공익결정과 집행의 주된 역할을 행정부가 담당할 수도 없고 또 그래서도 안 된다. 그렇다면 민주정부 하에서 행정부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가? 정책의 결정과 이를 위한 수단의 선택, 공무원의 충원과 배치, 그리고 조직과 예산의 배분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이러한 논쟁을 통해서 한국행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설계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적이다.
-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al, political, and normative context of public management in a democratic political system.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central issues, values, and controversies facing the contemporary public manager, and seeks to enable students to appreciate,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political nature and dynamic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The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power of the administrative state and the political constraints imposed upon it.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issues of accountability, equity, responsiveness, and the concept of the public interest.
- 교과목번호: 921.728B
- 이수학점: 3-3-0
- 본 강좌는 석사과정 지방행정론의 심화 및 확산을 위한 강좌이다. 지방행정 과정 전반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아울러, 지방권력구조와 거버넌스 이론, 지방행정의 민주화, 지역사회 주민참여, 지역사회발전전략 등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아울러 실제 지방행정사례를 적용하여 이론의 실천적 접목을 시도한다.
- This is an intensified and developed course of the Local Administration at the master level. In addition to analyses of the local administrative process, it discusses local power structure and local governance, local democracy,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strategies for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nd so on.
- 교과목번호: 921.742
- 이수학점: 3-3-0
- 다양한 조직을 비교·연구하는 데 필요한 이론을 학습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적이다. 이 강의에서는 조직비교의 기준, 조직의 유형, 조직비교의 방법 등이 주제로 다루어질 것이다. 또 조직의 효과성, 상황이론 등을 다루며, 조직론 중 의사결정론과 조직심리를 제외한 분야를 다룬다. 관료제론도 주요 대상의 하나이다.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으로 하여금 조직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을 스스로 개발하게 하는 데 있다.
- The course will examine the theories for the comparative research of various organizations The following topics will be covered in this course: the criteria of comparative organizations; the typologies, methods and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s; contingency theory; organization theory, with the exception of decision making and organization psychology; theories of bureaucracy The main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improve the ability to analyze organizational structure.
- 교과목번호: 921.743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에서는 조직 속에서 인간의 동기발전에 관한 제 이론을 검토하고, 여러 가지 동기부여체제가 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욕구이론, 기대이론, 성격유형론, 지각이론 등 인간의 동기에 관한 이론과 행정적 동기부여 체제에 관한 이론들이 깊이 검토된다.
- This course is designed to review the major theories of human motivation and to analyze the administrative effects of various motivation systems and strategies We will do an intensive evaluation of the important theories of human motivation such as needs theory, expectancy theory and theories of administrative motivation systems.
- 교과목번호: 921.746
- 이수학점: 3-3-0
- 예산운영은 자원의 투입, 과정, 산출 및 결과라는 분석적 측면, 예산의 편성, 심의, 집행 및 회계검사라는 정치 행정의 제도적 측면, 그리고 회계자료 및 관리정보라는 측면들의 상호작용 하에서 이루어진다. 이 과목에서는 위와 같은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예산과정을 정치과정의 하위과정이라는 시각에서 파악하고 비교예산론의 관점에서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게 된다.
- Budgeting is composed of three interacting aspects: the analytical contents, such as the input, process and yield of resources;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ontext, such as the preparation, authorization, execution and auditing of budget; accounting 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is course will deal with such aspect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roces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ase of Korea A comparative theory of budgetary processes will also be discussed.
- 교과목번호: 921.759A
- 이수학점: 3-3-0
-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거시적 맥락에서 접근하여 한국정부론·한국행정론을 연구하는 박사과정 세미나이다. 근대 ‘국가’와 시민사회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의 한국적 적실성에 대해 역사적 및 비교론적 시각에서 논의한다. ‘국가’의 형태, 기능, 기구, 자율성, 강도, 경도, 능력, 경쟁력, 실패, 흥망, ‘정부성’ 등의 관련 개념들을 다양한 추상수준에서 이해하고, 경험적 연구로 연계한다. 세미나 참여자가 선정한 세부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개인적 분석 틀의 구성을 유도한다.
- This is a doctoral seminar for learning and building theori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context of the state-civil society relations. Discussion topics include: the theories of the modern state and civil society and their relevancies in Korea; the state forms, functions, apparatus, autonomy, strength, hardness, capability, competitiveness, rise and fall; and such post-modern concepts as ‘governmentality.’ Each student is encouraged to design research frame-works for conducting researches on his/her own specific subjects.
- 교과목번호: 921.760
- 이수학점: 3-3-0
- 행정법과 행정제도에 대한 법정책학적 접근을 통하여 현대행정국가에 있어 법과 행정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고, 행정부문에서의 정책과 제도의 이론과 실제를 분석·검토한다. 행정에 관한 법과 제도의 형성과정과 실현과정을 법정책학의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단순히 기존의 행정법과 행정제도의 구조와 내용을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서 입법수준에서 바람직한 행정법 제도를 수립·실현하기 위한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의 처방적 준거들을 모색한다. 사회적 현안이 되었거나 되고 있는 주요한 행정법 제도를 대상으로 삼아 법이론 및 법정책학적 논의를 진행한다.
- This seminar course is an advanced study of major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their legal policy aspects This course will cover the current issues of administrative-legal institutions, such as administrative procedure, the freedom of information, participation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administrative remedies and the legal aspects of regulation It will also adopt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administrative- legal policy making in the course of the semester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gal process and public policy, this course aims at building up the main framework of legal policy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esent prescriptive standards and solutions for institution building in various administrative fields This course will not only cover legislative issues but also the problems o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Discussions will ultimately lead to the topic of administrative law reform.
- 교과목번호: 921.764A
- 이수학점: 3-3-0
- 전통적 및 새로운 거버넌스의 의의, 이론 및 적용가능성과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공공리더십의 유형 및 함양 방법에 관해 학습한다. 국가, 시장, 시민사회공동체의 단일 영역/조직 내부 및 다(多)영역/조직간 협력에 의한 공공문제, 사회위험 및 갈등 해결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해 토론한다. 공공리더들이 사용하는 전통적, 민주적, 자유방임적, 교환적, 양자론적, 상징적/이데올로기적, 변환적 리더십 등 다양한 리더십의 특성과 원천 그리고 함양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학생 자신이 선택한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와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공공리더십 유형을 설계한다.
- This seminar is intended to provide the doctoral students with knowledges of the traditional and new governance systems and the public leadership styles to facilitate the systems. The participants are introduced to various leadership styles, including manipulative, symbolic or ideological, democratic, transactional, quantum,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collaborations between the single- or multi-sector /organizations of the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for public problem solving, including public service provision, social risks and conflicts resolution, etc. The students are induced to design his/her own paradigms of public governance and leadership in order to solve her/his chosen public problems.
- 교과목번호: 921.766A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은 국가차원의 공공 및 민간부문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인사관리하는 과정과 방법을 주로 다룬다. 우선 인적자원의 개념과 범위, 인적자원개발의 의의와 과정을 검토하고 국가인적자원개발의 기능을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발전과 연관시켜 고찰한다. 다음으로 인적자원개발을 양성·재교육, 배분, 활용과 보존의 각 단계별로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인사관리적 측면에서 모집, 선발, 배치, 근무성적 평정, 교육훈련, 승진·전보, 보수, 사기관리 등의 과제들을 다룬다.
- This subject deals with the process and methods of developing and managing national human resources at public and private sectors. It reviews the concepts, coverage, process and signific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h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aspects. The process contains formation, distribution,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ts management tasks includes recruitment, selection, placement, performance appraisal, education, promotion, transfer, compensation, and morale management.
- 교과목번호: 921.769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은 행정학 연구를 시작하는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행정이론의 철학적 기반과 함의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존재론, 인식론, 인간관, 방법론 등 행정과학의 철학적 토대와 개인주의, 다원주의, 엘리트론, 계급이론 등 국가와 사회에 대한 철학적 토대, 그리고 실용주의, 근대주의, 후기근대주의 등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공공성, 국가성, 공익, 공공윤리, 행정책임, 행정이념, 정책가치, 정치-행정이(일)원론, (신)행정국가, 관료제, 신행정학, 신 공공관리론, 거버넌스, 포스트모던 행정이론 등 주요 행정학 개념과 패러다임들의 특성을 규명한다. 궁극적으로 수강생 스스로의 행정학 연구 틀 구성을 유도한다.
-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help doctoral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ly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participants are introduced to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human nature and methodological assumptions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Science, the individualistic, pluralistic, elite and class perspectives on the state and society, and pragmat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etc., and induced to apply the knowledges to illuminating the core concepts, theories and issues of Public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publicness, stateness, public interest, public ethics,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policy values, politics -administration dichotomy, (neo-)administrative state, bureaucracy, New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Choice, New Public Management, governance, post-modern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etc. At the end of the semester, each students is expected to propose his/her own philosophical/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Public Administration. course will introduce the planning process theory focusing on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help students develop planning capacity by examining the practical aspects of planning Topics to be covered include the following: the concepts, ideology, typology, historical background and trends of planning; procedural theories that involve the process, organization and system of planning, and its methods of approach;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national planning system; planning organizations; process of planning in foreign developed countries; the reality of our planning systems.
- 교과목번호: 921.776
- 이수학점: 3-3-0
- 본 강좌는 도시의 공공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도시정부의 도시공공서비스 전달활동 과정에 대한 분석과 대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과목내용으로는 도시화의 확산과 의미, 도시공공서비스의 성격, 공공서비스의 공급과 생산, 공공서비스 전달의 대안적 수단에 대한 비교검토, 공공서비스의 평가 등을 포함한다. 특히 공공서비스의 성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능률성만 아니라, 민주성, 형평성 차원에서의 검토를 포함한다.
- This course intends to analyze the process of urban service delivery of urban governments and suggest more effective delivery alternatives. Its contents comprise the subjects such as urbanization and urban government, demands on urban public services, provision and production of services, alternative service delivery methods, evaluation of service performances etc. Efficiency, responsiveness, and equity are applied as the principal criteria in the evaluation of service provisions.
- 교과목번호: 921.777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의 목표는 효과적인 공공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현대 정부가 정책목적을 달성하고 성과를 창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공공관리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이 과목의 초점은 효과적 공공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경험적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수강생들이 조직 및 관리에 관한 일반이론과 실증연구에 필요한 방법론적 지식을 이미 습득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국내·외 공공관리 실증연구문헌에 대한 심층적 토론과 미래 연구의제의 모색이 이루어진다.
- This course intends to build professional capacity to perform research for effective public management that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performance in modern governments. Competent and proactive managers play key roles in buffering external influences and overcoming resource restraints, which often leads to high-performing public organizations. The focus of this course is on investigating empirical knowledge about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public management and the various dimensions of government performance. Courses on general theories of organization and on methodologies including quantitative analysis are prerequisite.
- 교과목번호: M2193.000700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표하는 재무결산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 사용하는 회계기준과 각 계정과목들에 대해 이해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재무보고서가 어떻게 다른지를 배우게 된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재무정보들을 활용하여 어떠한 연구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 교과목번호: 921.772
- 이수학점: 3-3-0
- 본 강의는 환경행정이라는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한 학기동안 이론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각의 논문을 접하고, 관련 분야의 학술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환경행정 분야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방법이 무엇일지 함께 고민해보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 교과목번호: M2086.001500
- 이수학점: 3-3-0
- 본 세미나는 공공부문의 성과관리라는 주제로 이론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각의 논문을 접하고 한 학기 수업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관련 분야의 학술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들은 성과관리를 제도화하고 끊임없는 조직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공공부문 조직들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에서 도입된 성과관리기법들은 성과왜곡 또는 공공성의 훼손이라는 부작용을 재생산한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본 강의는 질적 또는 계량방법론을 이수한 박사과정생을 대상으로 발제와 토론을 통해 각자의 주제를 발전시키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 논문 주제는 각 주차의 주제 중에서 선택하되 2명 이상의 팀으로도 진행이 가능하며, 학기말에 이론적·방법론적 측면에서 완성도가 높은 학술논문을 선정하여 행정학분야 등 재지 또는 SSCI급 저널에 기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