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

HOME---

- 교과목번호: M2083.000700
- 이수학점: 3-3-0
- 이 교과목은 정치시스템의 비교연구에 대한 식견을 제공한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는 물론, 유럽과 북미 대륙의 사례분석을 활용할 예정이다. 정치시스템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비교 및 평가 에 초점을 두고 합의 민주주의, 선거방식 그리고 연방제, 연합국가, 정당체제, 대통령제, 내각제, 견제와 균형 등의 이슈를 다룰 예정이다. 또한 자유민주주의의 청사진을 따르지 않는 국가 들의 사례분석도 진행할 것이다. 사례분석은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스위스와 레바논의 다극공존형민주주의, 프랑스, 미국, 독일, 스페인의 대통령제 혹은 비-대통령제 자유민주주의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이후에는 한국과 일본의 자유민주주의, 중국과 시리아의 비-자유주의 등 아시아 대륙의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볼 예정이다. 이 교과목은 다양한 정치시스템에 관한 비교를 통해 보편적 지식을 함양하고, 최소한 두 국가의 사례분석을 통해 자세한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교과목번호: M2083.000300
- 이수학점: 3-3-0
- 이 교과목은 근대부터 현대까지의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국제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강의는 미국 행정의 개별적인 단면보다 주요 외교 정책설정 과정에 집중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이 수업 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인 만큼 학술적 영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분야에서 지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미국의 외교 정책의 역사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 (2) 역사적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정책 (그의 결정과정)에 대한 자세한 지식, (3) 이론적인 관점을 접목하여 미국 외교정책을 분석하는 능력.
- 교과목번호: 921.505A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의 목적은 조직이론을 소개하고 조직현상에 관한 분석과 관찰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데 있다. 주요 주제는 조직환경, 조직목표와 효과성, 권력과 의사결정, 조직구조, 동기부여, 직무태도, 리더십과 조직문화, 조직변동 등이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공공조직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본역량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 수업은 기본이론에 대한 강의, 수강생의 조사발표, 사례토론의 세 부분으로 일어진다.
This course intends to help you acquire the basic knowledge about organization theories and to develop your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bout managerial practices in organizations. While some attention will be given to private organizations, the primary focus will be on public and quasi-public organizations. Key themes that will be examined include organizational environment, goals, effectiveness, powers, decision-making, structures, leadership, cultures, and changes. This course will be organized into three sections: lectures on basic concepts and theories, presentation of short paper on assigned readings, and case discussion on team projects.
- 교과목번호: 921.506A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의 목적은 공공부문 인적자원관리에 관한 개념 및 이론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최근 국내외 정부가 활용하고 있는 구체적인 인적자원관리방식 및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무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다. 과목의 초점은 민간부문 인적자원관리와 구별되는 공공부문 인적자원관리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수업은 기본 개념과 이론에 대한 강의, 수강생조사발표, 사례토론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The goal of thiscourse is to examine major concepts and theori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this knowledge, this course intends to develop students’ professional capacity by analyzing HRM practices and discussing recent cases. The focus of this course is on understand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as compared to HRM in the private sector. The course is organized into three parts: lectures on key concepts and theories, presentation of research by students, and case discussion.
- 교과목번호: 921.507A
- 이수학점: 3-3-0
- 본 교과목은 공공부문의 예산제도 및 회계제도 그리고 이와 관련된 감사제도 등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과목에서는 1) 예산의 역할과 기능(재정정책), 2) 예산결정론, 3) 예산(행태)이론, 4) 예산제도의 개혁, 5) 정부회계제도, 6) 공공감사제도 등의 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This course examines the theories of budgeting and financial managements. More specifically, it examines 1) the role of budget/fiscal policy, 2)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budget, 3) the behavior theories of budget, 4) the reform of budget systems, 5) the government sector accounting, and 6) the theories of auditing.
- 교과목번호: 921.513A
- 이수학점: 3-3-0
- 본 강좌는 지방화시대에 그 중요성이 점고하고 있는 지방차원의 정치와 정책을 다룬다. 지방자치의 목적과 이념, 지방정부의 기구와 정책, 주민참여, 지방공공정책에 관한 전문적 연구업적에 대한 분석과 토의를 통하여 도시 및 지방정치행정에 대한 전문적 식견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course will mainly discuss the development of Korean local government system This course aims at providing students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ocal government by examining the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 policy; local politics; the mechanism of finance and budgeting system.
- 교과목번호: 921.516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에서는 전통적 비교방법과 새로운 비교방법 사이의 차이, 그리고 발전도가 다른 몇 가지 이론모형을 논하고, 우리와 인접한 동양 여러 국가와 서구 민주국가의 행정을 비교연구한다.
This course will introduce the traditional and new comparative approaches and examine several models of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It will make comparison of public administration systems and behaviors of selected countries that include the Asian developing countries, the socialist countries and the developed Western countries.
- 교과목번호: 921.529
- 이수학점: 3-3-0
- 지방화의 진전에 따라 지방정부의 자율성이 진전되면서 중앙과 지방, 지방과 지방간의 의사소통과 조정은 중요한 정책문제로 대두되어왔다. 이 같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강좌는 수강생들이 정부간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함께 효과적 정부간관계의 처리를 위한 정책전문가가 되는 것을 돕고자 한다. 과목내용은 정부간관계의 의미, 정부형태와 정부간관계, 정부간관계의 조정 및 협력방식, 재정 및 사무차원의 정부간관계, 외국의 정부간관계 등을 포함한다.
- 교과목번호: 921.530
- 이수학점: 3-3-0
- 이 세미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핵심적 제도로 자리 잡고 있는 복지국가와 이에 대한 국정관리체제를 비교연구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정책에 대한 창의적 연구를 수행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유럽과 북미에서 발전해온 복지국가들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복지국가를 비교연구하고, 이와 동시에 현대 사회의 가족, 노동, 인구학적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도전과 정책적 대응을 검토한다.
This seminar will examine the governance of the welfare state in contemporary capitalist societ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e seminar also aims at enabling the students to carry out original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policy and governance. In terms of the scope, it will cover the welfare state in East Asia including that in Korea as well as those in Europe and North Africa. The seminar will pay special attention to challenges facing the welfare state and policy responses in the wake of the post-modern changes such as new family structure, flexible labour market and demographic change.
- 교과목번호: 921.567
- 이수학점: 3-3-0
- 본 강좌는 환경행정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들을 검토하고, 문헌과 사례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 학기동안 환경 분야의 고전부터 최근 기후변화협약 관련 국제동향과 청정기술개발에 이르는 다양한 문헌을 검토한 후 환경관리 및 행정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환경행정의 대상 및 조직을 살펴보며, 환경분쟁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고, 대기, 수질, 토양 등 매체별 환경관리 제도를 개관한다. 또한 환경과 비용편익분석, 환경영향평가, 자율환경관리 등 환경관리의 다양한 기법을 공부한다. 그리고 지구적 환경협력, 지속가능한 발전, 녹색정치 등의 주제를 통해 환경거버넌스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 교과목번호: 921.614A
- 이수학점: 3-3-0
- 이 강의는 (1) 정보화 사회와 행정의 변화, (2) 행정정보체계와 정보기술 인프라, (3) 정보기술의 응용, (4) 행정정보체계의 개발방법론, (5) 정보민주주의, (6) 정보정책, (7) 전자정부 등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Basic elements of computer hardware, software and programming will be introduced. Concepts on administrative uses of computer, concepts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relevant to information systems, analysis of information requirements, processing methods, data management, and control of operations. In this course, an overview of theory and practice of planning, control and administration applied to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will be discussed. The analysis and design of computer based information decision systems and its implications on administrative process and organization will also be studied.
- 교과목번호: 921.615B
- 이수학점: 3-3-0
- 합리적인 공공부문의 활동을 제약하는 가장 큰 조직내부요소 중 하나는 정부 관료들의 부패행태이다. 관료부패에 대한 감정적 평가와 선언적 대안제시에 앞서 이를 정부관료 조직에 관한 전체 적인 틀 속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본 과목에서는 부패의 정의기준, 정치부패와 관료부패, 부패유형, 부패의 기능과 원인에 관한 일반이론, 주요국가의 관료부패 양태, 부패와 경제발전과의 관계, 부패에 대한 통제, 그리고 기존의 부패현상에 관한 사례연구 등이 주요 분석 과제들이다.
- 교과목번호: 921.616B
- 이수학점: 3-3-0
- 정부와 공공기관들은 공공부문의 성과관리를 제도화하고 끊임없는 조직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공공부문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 개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 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이론적 논의 및 세계적 흐름을 발전 단계별로 살펴보고, 전략적 기획, 균형성과관리(BSC), 핵심성과목표(KPI), 성과측정 및 평가, 위험관리 등 다양한 성과관리 기법을 검토한다. 또한 관련 논문리뷰, 사례분석 등을 통하여 정책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구하고자 한다.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programs is the answer to many issues with which public officials are struggling. It is part of the effor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public programs, a strategy to strengthen the coordination of different agencies and the programs they manage. And it is a critical element in the public’s discourse with their elected officials about the role and purpose of government programs. With so many different goals, there is a risk that performance management becomes oversold. Assessing what performance management is, what it is best at, how to make it work, and what impacts it might have are the goals of the course.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context of performance management. They will develop skills in measuring public programs. And they will understand its role in the broader political framework of the government.
- 교과목번호: 921.617A
- 이수학점: 3-3-0
- 본 강의는 행정 민주화의 필수요소인 시민참여에 대한 관련 논의를 위한 것이다. 먼저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강의를 선행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행정의 민주화를 위한 실천적 도구로서의 시민참여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민주정치의 제 이론, 시민참여의 개념, 참여방법, 참여활성화를 위한 방안, 공직자의 대응방안, 참여환경의 조성, 권력구조와 참여와의 관계, 시민정치, 전자민주주의 등에 대하여 섭렵한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the civil participa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various theories of democracy, concept and method of civil participation, attitude of civil services toward civil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and governance structure for promoting the civil participation are dealt in this class. In addition, students will discuss e-participation, civil poli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participation as important topics on the civil participation.
- 교과목번호: 921.618
- 이수학점: 3-3-0
- 국가 - 시민사회의 거시적 맥락 속에서 현대 행정이 지니는 위상, 기능, 구조, 의사결정 등에 관해 토의한다. 국가형태, 국가기능, 국가기구, 국가자율성, 국가강도, 국가 능력 등 국가성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제 개념들을 다양한 추상적, 경험적 수준에서 익힌다. 궁극적으로 국가론이 행정 연구와 실제에 주는 시사점에 관해 토의한다.
In this course we will study the status, functions, structures and decision making of public administr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state and civil society Discussion topics include the concepts and propositions of the forms, functions, apparatus, autonomy, strength and capability of the state We will also examine how the theory of the state is related to the study and practice of public administration.
- 교과목번호: 921.619
- 이수학점: 3-3-0
- 행정학이론의 이해에 기초가 되는 주요 사회이론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19세기 이후의 주요 사회사상을 1, 2부로 나누어 소개하며, 전반부에서는 주요 학자별로, 후반부에서는 학파별로 소개하게 된다. Comte, Marx, Weber, Durkheim의 고전 사상을 다루고 교환이론, 기능이론, 갈등이론, 상징이론, 체계이론 등의 주요내용을 공부하게 된다.
This is a graduate level introductory sociology course for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majors We will review the essential concepts, issues, research findings and perspectives in soci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 교과목번호: 921.623
- 이수학점: 3-3-0
- 본 과목에서는 전통적인 행정의 역사가 현대까지 어떻게 그 맥락을 이어왔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지금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전개한다.
In this course we will do a historical analysi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 교과목번호: 921.652
- 이수학점: 3-3-0
- 현대행정에 있어 정부와 기업의 상호의존관계는 복잡하고 국가에 따라 또는 시대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와 기업을 지배하는 정치의 논리와 경제의 논리도 상호 복잡한 관계를 이루면서 끊임없이 변해가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우선 현대행정에서 정부와 기업의 상호의존, 협력, 대립의 양상이 왜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변화하고 그 각각의 유형은 어떠한 장·단점을 보여주는가를 비교론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다음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그동안 정부와 기업의 관계가 어떻게 변천되어 왔고 어떠한 장점과 문제점을 드러내 왔는가를 검토한 다음, 앞으로 전개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Originally titled Government Business Relationship, this course aims at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dynamic and complex government business relations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bureaucratic governance It will give special attention to the rapidly changing mod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 which tend to harness market mechanisms more heavily in the pursuit of national policy goals After examining the theories of the state, this course will go on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major countries have formed their own government business relationships It will cover industrial policy, financial policy, regulatory policy and privatization. policy as the major policy areas that most vividly reflect the unique aspects of the government business relationship It will also touch on the challenges of the globalization trend and examine the business strategies and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Subsequently, this course will evaluate Korea’s government business relationship and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 교과목번호: 921.665
- 이수학점: 3-3-0
- 도시화 현상과 도시문제를 개관하고 효과적인 도시 관리를 위한 제도 정책들을 다룬다. 특히 대도시화에 따른 광역정책과 도시 하부구조에 관련된 일련의 정책들이 주요한 연구대상이다. 더불어 도시재정과 경제기반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In this course we will analyze in detail the administrative problems of modern large cities so as to help formulate urban policy We will examine the following topics: the typology of metropolitan governments worldwide; the comparisons of their advantages; new budgeting systems for efficient financial control currently at issue in the developed nations and its applicability in Korea; the issue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metropolitan administration.
- 교과목번호: 921.679A
- 이수학점: 3-3-0
- 본 과목은 행정 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행정 관련 제반 과정에서 언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이 무엇인지, 언어 및 미디어를 통한 관련 행위자간의 상호작용이 행정의 과정과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인터넷을 비롯한 새로운 미디어의 발전으로 행정의 과정이 일방향에서 쌍방향으로 변화하고 커뮤니케이션의 채널 또한 다양해지면서 정부와 정당, 이익집단, 언론, 국민 등 행위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채널이 변화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을 통해 이러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본 강의의 목표이며, 구체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의 효과, 참여민주주의와 공론장, 온라인 저널리즘, 정부와 언론의 역할 및 관계, 언론기관의 구조와 수행, 미디어 정치와 선거, 행정홍보의 이론과 전략, 이익집단의 참여와 매체 이용,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전략, 영상매체의 특성 등을 주제로 하여 정부와 국민 간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심도 있게 고찰한다.
This seminar examines the role of communic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processes, with a special focus on how language and media shapes the extent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political parties, stake-holders, the press, and the public. Students will learn communication theories and media theories and how these theories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public administration. Specific topics include effects of media and communication, participatory and deliberative democracy and the public sphere, online journalis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ess, media politics and elections, public relations of the government, strategic use of the media, and so forth.
- 교과목번호: M2193.000600
- 이수학점: 3-3-0
- 이 과목은 정부에서 사용하는 재무회계가 기업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한다. 정부에서 사용하는 회계기준은 기업 회계기준에 기반을 두었지만 정부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른 회계기준 을 사용하고 있다. 이 과목은 기업의 회계기준을 학습함으로써 정부 회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기업과 정부의 특성을 분석하여 왜 정부회계 기준이 별도로 필요한지를 이해하게 된다.
- 교과목번호: 921.517
- 이수학점: 3-3-0
- 이 강의는 공기업의 본질과 설립배경, 기능을 파악하고 공기업이 국민경제와 정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후, 공기업 관리개선을 위하여 조직, 인사, 요금 및 투자정책, 노동관계의 측면에 서 한국 공기업을 해부하는 동시에 외국의 공기업제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공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